고속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수많은 대형 트럭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이들 대부분은 돈을 받고 물건을 배달해 주는 운송업자들입니다.
가장 쉽게 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택배도 운수업의 하나인데요. 아무래도 차를 가지고 일을 하는 업종이다 보니 기름값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요.
최근 기름값이 크게 올라 운수업자들의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런데 운수업자들 중에서 기름값은 정말 아무 것도 아니라는 곳이 있는데요.
바로 통행료 때문인데요. 통행료의 경우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운송업자라면 어쩔 수 없이 내야하는 비용입니다.
이중에서 경남에서 운송업을 하는 사람들. 특히 부산과 거제도를 지나는 이들의 경우 매월 나가는 통행료가 상상으 초월한다고 합니다.
경남 거제시에는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거대한 다리가 하나 있는데요. 해당 다리가 바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통행료를 내야하는 거가대교입니다.
경차만 해도 5천원, 소형차는 만원, 중형차는 만오천원, 대형차는 무려 이만오천원을 내야 하는데요.
이정도 가격이면 인천공항을 갈때 지나는 인천대교보다도 더 비싼데요. 대체 이렇게 왜 이렇게 비싼 걸까요?
가장 큰 이유는 거가대교과 일반 다른 다리와는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 있습니다. 거가대교는 해저터널과 대교 2개로 구성돼 있는데요.
특히 이 해저 터널은 수심 48미터에 설치된 세계에서 가장 깊은 터널이라고 합니다. 해당 터널을 만드는데 항공모함에 버금가는 크기의 초대형 함체가 무려 18개나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건설 난이도가 높은 만큼 통행료 역시 높아질 수 밖에 없는데요. 너무나 높은 가격에 한 시민단체가 민자 고속도로 중 가장 비싼 인천대교보다 4.7배 비싼데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는데요.
그도 그럴것이 현재 거가대교의 통행료는 경부 고속도로의 60배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요금이 정말 극악하다고 할만큼 비싸지만 운수업자들인 해당 대교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시간 때문입니다. 거가대교를 이용하게 되면 부산에서 거제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140km에서 60km까지 크게 줄일 수 있는데요.
통행 시간으로 따지면 2시간 10분에서 50분으로 절반 이상 줄어듭니다.

여기에 기름값과 타이어 교체비까지 계산하면 실질적으로 비용을 크게 아낄 수 있어 사실상 다른 선택지가 없는 셈입니다.
이용은 해야 하는데 비용은 과하게 비싸기 때문에 개통후 지금까지 갈등이 끊이지 않는데요. 이 곳을 하루에 몇 번이나 이용하는 운수업자의 경우 한 달 통행료가 무려 300만원이라고 하니 불만이 생기는 것은 어찌보며 당연한데요.

이런 불만 제시에 정부도 할 말이 있습니다. 거가대교의 경우 국책사업임에도 민간 자금이 거의 1조 들어간 반면 국비는 5000억도 채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민간 자금이 70% 이상 들어갔기 때문에 아무래도 국가가 운영하는 고속도로 통행료보다는 통행료가 과하게 측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인데요.
해당 건설에 투자한 기업들이 투자자들에게 높은 이익을 주기 위해 통행료를 높게 책정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통행료 수준이면 운수업자 뿐만 아니라 일반 관광객 또한 부담스러운데요. 중형차 기준 왕복 3만원이 넘습니다.
이를 근거로 한 시민단체는 거가대교 시행사를 상대로 통행료를 내릴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엄청난 투자금이 투입된 만큼 그다지 간극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데요.

거제도의 경기 활성화와 관광객 유입 그리고 운수업자의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나서 지금보다 좀 더 합리적인 대안이 필요할 듯 합니다.